낮은데서 만나는 행복
페이지 정보
작성자 양정성관련링크
본문
낮은데서 만나는 행복
모든 인간은 살아가면서 매일 매일 인간관계를 형성하면서 희로애락을 겪는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스스로 낮은 데로 내려 앉을 수록 상처받는 일이 그만큼 적어진다.
밑바닥은 가장 낮은 곳이다. 그래서 가장 낮은 바닥에 가까울 수록 사람은 편안해진다. 서 있는 것보다 앉아있는 것이 편하고 앉아 있는 것보다는 누워있는 것이 편하다. 더 이상 넘어질 일이 없어서일까. 일본의 경우 현직 고위 공무원이 정치 자금 문제로 수사가 진행돼 오면 스트레스를 못 이기고 스스로 목을 매어 자살하는 일이 많다. 이는 고위 관직에서 쫓겨날 불명예의 두려움이 크기 때문일 것이다.
산이 높으면 골이 깊은 법이다. 평지에서 넘어지면 엉덩방아를 찧어도 훌훌 털고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높은 산 계곡에서 실족하면 목이 불어지거나 척추를 다쳐 꼼짝할 수 없게 된다. 심하면 목숨을 잃게 된다.
성공한 사람에게는 보통 사람이 느끼지 못하는 두려움이 있다. 보통 사람은 실수하더라도 표가 나지도 않고 쉽게 원상 복귀할 수 있다.
그러나 크게 성공한 사람일수록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크다. 사회적으로 얻은 명성이 높기에, 명성을 잃어버릴 때 얻게 되는 불명예의 수치가 크기 때문이다. 가끔 보도되는 연예인들의 자살 소동도 알고 보면 사람들의 시선을 잃게 될지 모른다는 절박한 심정이 아니었을까.
그래서인지 20세기의 저명한 영성학자 헨리 나우웬의 삶은 성공에 목숨을 거는 사람들에게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젊은 시절부터 하버드대 교수로 재직하면서 30권이 넘는 책을 써서 유명인이 된 헨리 나우웬은 항상 많은 사람들이 그 분을 만나고 싶어 하는 명성을 지녔다.
그런데 그 분이 어느 날 갑자기 폭탄선언을 했다. “나는 이제 하버드대 교수직을 포기하고 앞으로 정신박야아들을 돌보며 일생을 보내기로 했습니다” 라고 하자 그 분을 아끼고 사랑하는 동료와 제자들이 놀라 설득에 나섰지만 소용이 없었다.
그 당시 그 분의 대답은 분명했다. “그동안 내가 살아온 오르막 인생길에서는 성공과 칭찬에 가려 예수가 보이지 않았습니다. 이제 낮은 곳에 가서 예수를 만나고 싶습니다.” 라고 했다.
그 분은 마침내 인생의 말년을 캐나다의 라르시 공동체에 속한 정박아 시설에서 남들이 다 꺼려하는 장애인들의 대소변, 식사, 목욕 등을 도와주는 구질구질한 일을 하며 낮은 곳에서 봉사하다가 일생을 마쳤다. 그 분이 바로 ‘ 상처입은 치유자’( The Wounded Healer)의 저자 헨리 나우웬 신부님이시다.
왜 그 분은 낮은 곳에서 살기를 원했을까. 그 분 말대로 낮은 곳에 가야 쉽사리 예수님을 만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이 세상에 가장 낮은 곳을 찾아 오셨기 때문이다.
알고 보면, 참된 겸손은 ‘낮은 데’로 임하는 착한 마음이다. 그 곳에서 우리는 인간이 되신 하나님을 진정으로 만나게 된다. 하나님을 만나고 사람들에게서 환영을 받으면, 그 때 비로소 우리 삶의 자리에 행복의 꽃이 피어나는 것이 아닐까.
글쓴이 ( 德山 양정성 / 사랑샘공동체 자문위원,경남대 화학과 명예교수(이학박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